퇴사 말고 휴직 (1)- 독서감상문 ^^
본문 바로가기

독후감, 책소개

퇴사 말고 휴직 (1)- 독서감상문 ^^

 






제목 : 퇴사 말고 휴직
부제 : 남자의 휴직, 그 두려움을 말하다
글쓴이: 최호진

작가는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이기에, 그리고 새로운 길이기에 무서웠다고 했다.. 적어도 직장생활에서는 후회할게 뻔했다. 남성 휴직자라는 주홍글씨가 나의 직장생활을 흼들게 만들 것이 불 보듯 훤했다
소중한 1년 반의 시간을 허비 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도 있었다
하지만 두려움과 걱정보다는 지금의 내 상태를 바꾸고 싶었다. 의미 없이 보내는 삶에 전환점이 필요했다. 하루하루가 너무 소중해서 설레는 기분으로 매일아침 맞이하고 싶었다
진짜 행복한 삶이 무엇인지 몸으로 보여주는 아빠가, 그리고 남편이 되고 싶었다
다소 충동적이고 약간은 무모했지만 나는 조금 다른 내가 되고 싶다는 마음에 비장한 마음을 품고 그렇게 휴직을 선택했다고 한다.
이 부분은 작가의 퇴사말고 휴직을 내기 전에 마음을 표현했다
그래도 내가 보기에 작가는 운이 좋았던 것 같다. 그래도 괜찮은 회사에 다녀서 1년반이라는 휴직을 낼 수 있었고, 책도 낼 수 있었다.
필자도 6개월 동안 휴직을 낸 적이 있다. 사유는 갑상선 항진증이었다. 의사선생님이 지금 휴직을 안 하면 정년퇴직을 못한다는 사형선고도 내렸다. 그때는 내가 승진서열에 들어간 상태였다. 그 절박한 마음, 지금 생각하면 아찔하다.
아직 아이들도 어리고 내가 돈을 벌어야 했다. 적어도 정년까지는 다녀야 아이들을 대학교까지는 보낼 수 있었다. 그것은 부모의 도리라고 생각했다
오직 내 몸만을 생각하고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생각했다. 그만큼 절실했다
휴직을 하면서 그동안 못했던 시 공부를 했다. 마침 아시는 분이 시인이라 시간이 있을 때
시 공부를 좀 하자고 해서 시작하였다. 나는 수필은 자칭 좀 쓴다!. 상도 좀 받았고
그런데 시는 처음이었다. 내가 시를 쓴다는게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시를 배우면서 수필보다는 시가 쉽다는 것을 느꼈다. 적어도 나는 그랬다. 자꾸 쓰니 부담도 없고
그렇게 시작한 시가 150편 가까이 된다. 책을 한권 낼려고 생각중이다.
시를 쓰기 시작하고 조금씩 쓰다보니 시인등단도 하게 되었다. 지금도 꾸준히 쓰고 있다.
수필도 함께 쓰고 있다. 직장 다니면서 남에게 민폐를 안 끼칠려고 무던히 노력했다.
그렇지만 어쩌겠는가 나도 살아야 하니 그러면서 나는 또 다르게 남에게 선행할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아래내용은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작가의 글을 나는 나대로 깨달은 것과 실천하는 것을 한번 적어봤다. 이 책을 보면서 감동을 한 것은 작가가 아이들과 함께 한 여행을 보면서
나도 일년에 한번씩 아이들과 함께 해외여행을 한다. 올해는 코로나로 인해서 못갔다
5년정도 된다. 5개 국가 정도 적은비용으로 동남아에 갔던 것이 내 생애 제일 잘한 것 같다. 코로나가 좀 잠잠해지면 또 아이들과 남편과 함께 갈 것이다
좋아하는 글도 쓰고 블로거도 하고 시도 쓰고 글도 계속 쓸 것이다. 정년퇴직이 4년정도 남았다. 퇴직하고 지금 하는대로 그대로 하겠지만 그래도 조금 돈벌이는 있었음은 좋겠다
그래서 지금 공인중개사 공부를 하고 있었다. 용어도 생소하고 모든 것이 어색하지만
한번 해볼 것이다. 내가 자격증을 따면 남편이 많이 도와줄 것이다. 노년에 소소한 일거리 하나정도는 있는것도 괜찮을 것 같다.
정년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다. 조금은 좋은 일도 해가면서 즐겁게 살아갈 것이다.








서문에 나의 쉼표이야기를 시작하며

글에 쉼표를 쓰기 시작했다. 쉼표를 쓰는 법을 배운 적이 없어 처음에는 어색했지만 쓰다보니 점점 편해졌다. 문장이 길어질 때 쉼표는 요긴하게 쓰였다. 강조하고 싶을 때, 몇 개를 나열할때도 유용했다. 마침표만 가득한 글에 쉼표가 쓰이니 글에 숨통이 트였다.
쉼표가 단순히 쉼을 표시하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강조할 때, 연결할 때, 끊어줄 때, 쉼표는 그때마다 맡은 바 역할을 다 했다.

어느 순간부터 쉼표는 내게 특별한 존재가 되었다. 문장부호 이상이었다. 내 인생의 첫 번째 쉼표덕분이었다. 그 쉼표는 바로 ‘휴직’이었다.
나는 순간부터 쉼표는 내게 특별한 존재가 되었다. 문장부호 이상이었다. 내 인생의 첫 번째 쉼표 덕분이었다. 그 쉼표는 바로 “휴직”이었다.
나는 40년 가까이 달리기만 했던 인생에서, 처음으로 쉼표를 찍을 수 있었다. 쉼표는 단순히 쉬는 것만을 의미하진 않았다. 매일 일상에서 무언가를 했다
아이들을 돌보기도 하고, 글을 쓰기도 하고, 책을 읽기도 했다. 회사밖 사람들을 만나며
새로운 세상을 접하기도 했다. 덕분에 그동안 보지 못했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나는 누구인가’ 라는 근원적 질문속에서 진짜 ‘나’찾기 위해 노력했다. 그 속에서 좋은 아빠로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했고, 회사에서의 내 잘못도 보았다. 복지후, 나를 지키며 일하는 방법도 찾을 수 있었다. 그 속에서 나의 꿈도 찾았다.

『에고라의 적』에서 작가는 살아있는 시간과 죽은 시간을 구별했다. 살아있는 시간은
무엇이든 배우려고 노력하고 행동에 옮기며 보내는 시간을 의미하는 반면, 죽은 시간은 수동적으로 기다리기만 하는 시간을 뜻한다. 이 구절을 보면서 회사를 다니며 하루하루 버티는 나의 시간이 죽은 시간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주말만 기다리고, 휴가만 기다리며,
퇴직하는 그날만 기다리는 그저 기다리기만 한 시간이었다. 하지만 두 번의 균열로 우물밖 세상에 대해 궁금해 하기 하기 시작하고 글을 꾸준히 쓰게 되면서부터 나의 시간이 조금씩 살아났다.
심폐소생술을 한 것처럼 미세하지만, 점점 뛰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삶에 생기가 도는 것을 느꼈다.
이것이 내 휴직의 시발점이었다. 인생에 미세한 균열을 일으켜 준 그분들이 고마웠다.

휴직 또한 꽤나 어려운 결정이다.
첫째 하고 싶은 일이 있는가?- 작가는 글쓰기였다.
둘째 배우자는 나의 휴직을 지지하는가?- 이세상에 태어나서 아내를 만나서 결혼한 것이 가장 훌륭했다고한다.
셋째 경제적으로 버틸수 있는가?- 100만원을 아꼈다. 나의 지출을 최소화했다.

이 질문에 대해서 나도 몇 년 전에 6개월가량 휴직계를 냈었다. 몸이 너무 좋지 않았다. 그리고 보직을 앞두고 있었다. 중간관리자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휴직계 낸 것 이상으로 늦어졌다. 그때 의사선생님이 말씀하셨다. 지금 쉬지 않으면 정년을 못마칠것이라고 말했다.

작가의 글을 보면서 그 당시가 주마등처럼 떠올랐다. 암담했다. 그렇지만 작가처럼 나도 글쓰기가 나를 구원한 것 같다.
그리고 남편도 나를 응원해줬다
그리고 빛을 많이 졌다. 작가는 100만원 아꼈다고 했지만 실제로 아끼는 것도 쉽지 않았다
그래도 지금 글도 열심히 쓰고 중간관리자로써 최선을 다한다. 그때 진 빚은 조금씩 갚다가 지금은 다 갚았다.
그때 쉬지 않았다면 아마 지금 많이 힘들었을 것이다. 몸은 많이 좋아졌다.


Couch(쇼파) Potato포테이토칩 이말은 소파에 누워서 포테이토칩을 먹으며 텔레비전만 보는 사람을 뜻한다. 게으른 사람을 나타낼 때 주로 쓰이는 말이다.
작가는 한때 Couch Potato 같은 사람이었다. 소파에 누워서 보지도 않는 TV를 틀어놓고 이리저리 채녈을 돌리는게 인생의 낙이었다.회사에서 받은 스트레스가 쌓이면 쌓일수록 게으름 지수는 올라갔다.







“1년 반동안 휴직하면 뭐 하실거예요?”
만나는 사람마다 이렇게 물었다. 솔직히 계획은 없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 가장 잘 하는 일을 찾아보겠다고 선언했지만 휴직은 다소 충동적이었다
특별한 계획은 없었지만 마음 먹은일은 하나 있었다. 바로 “글쓰기”, 휴직하면서 가장 우선으로 삼았던 것은 매일 글을 쓰는 일이었다. 나를 일상을 그리고 아이들과의 추억을
기록해야겟다고 생각했다. 매일 글을 쓰다보면 내가 고민하는 문제의 해결책이 나올것이라 기대했다. 그래서 사람들이 뭘 할 거냐고 물으면 매일 글을 쓸것이라고 대답하곤 했다.
작가는 글을 쓰는 일을 누구보다 싫어하는 사람이었다. 자신이 쓴글을 누가보고 비웃을까봐 항상 두려웠다. 지금도 남들의 시선에서 그다지 자유롭지 못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글쓰는일을 즐기게 됐다. 우연히 블로그를 시작, 매주 3번씩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급기야 매일 글을 쓰면서 글 쓰는 일을 좋아하게 되었다.

작가의 이 글을 읽으면서 문득 나의 문학카페가 생각났다. 부족하지만 글공부도 하고
함께 어려운 것을 이야기하면서 문제를 해결할려는 목적으로 몇분의 열성팬덕분으로 문학카페를 하나 만들었다. 그분들의 도움으로 지금도 열심히 글을 쓰고 그 글들을 공유하고 있다. 비록 좀 부족하지만 나의 글들이 인터넷상에 게시됨으로써 좀더 잘 써야 되겠다는 생각도 하고 열성팬들의 조언과 충고도 기꺼이 받아들이면서 조금씩 조금씩 나아가고 있다. 또한 블러그도 하나 만들어 나만의 장점을 살려서 내가 좋아하는 아이템을 사람들과 공유하고 있다. 글을 씀으로써 조금씩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댓글을 열심히 달아주는 열성팬들 덕분에 더 용기를 내어서 글을 쓴다. 글을 쓰지 않았음은 어땠을까 아찔할 것 같다. 항상 용기를 주는 팬들 덕분에 나날이 글솜씨는 좋아지고 있다.ㅋㅋ


 

 

https://nikang-nekang3737.tistory.com/364?category=886193 

 

퇴사 말고 휴직 (2)- 휴직기간을 어떻게 보낼것인가?

제목 : 퇴사 말고 휴직 부제 : 남자의 휴직, 그 두려움을 말하다 글쓴이: 최호진 휴직기간을 어떻게 보낼것인가? 무라카미하루키가 매일 달리기를 했던 것처럼 김민식 PD 가 매일 블로그에 글을

nikang-nekang3737.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