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짜미 독서
도서명 | 부의 인문학 | ||
지은이 | 브라운스톤(우석) | 출판사 | 북새통 |
책읽을 시간이 없다. 짬짜미(그때그때) 읽다보면 어느듯 .. |
책을 읽게 된 동기 : 내가 즐겨읽는 블러거중에서 레이달리오필명을 가진 분이 있다. 그분의 글을 읽으면 내 세포가 살아나는 것 같다. 현실에 너무 안주하는 것은 아닌가?
기존의 내 생각을 부서버리고 새로운 생각들로 장착을 하고 행동하도록 만든다.
좋은 사람을 만날 기회는 사실 거의 없다. 그러나 좋은 책은 언제나 내 주변에 있다. 그분이 소개하는 책 중에서
두번째다...계속 한번 읽어가볼 생각이다.
내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책을 한번 더 새기자는 의미다. 내가 씀으로써 나를 머리속에 박는다는 느낌을 아는가?
그런 마음으로 쓰고 있다.
여러분도 이 글을 읽고 더 자세하게 이 책들을 읽어보기 바란다. 이글은 안내자일뿐이다..그길을 가는 것은 여러분
실천이다..사실 나는 내가 못산다는 생각을 해본적이 없다. 그래서 그렇게까지 해야하나
이책을 읽으니까 내가 아직도 돈에 얽매일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었다. 조금씩 조금씩 벗어날 생각이다.
부자가 되는 그날까지 화이팅 ^^
2. 선진국과 이머징마켓 중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 영원한 성장의 기반을 만드는 것은 기술이다
- 지식과 기술이 많아지면 부는 폭발적으로 커진다
3. 20대 80대의 법칙을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 파레토최적을 받아들일수 있을까
- 세상은 20대 80의 법칙대로 흘러간다
- 부동산 투자라면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 주식투자라면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4. 노벨상 수상자를 파산시킨 블랙 스완은 무엇인가
- 무위험 거래가 파산으로 결말을 맺은 이유
- 블랙 스완에 배팅해서 돈을 버는 방법
- 리스크는 수확적 확률보다 더 크다
5. 돈 벌고 싶다면 혁신 기업에 투자하라
- 창조적 혁신이 경제성장을 창출한다
- 자본주의의 몰락을 예언한 천재 경제학자
- 마르크스와 숨페터의 가장 큰 차이점
- 슘페터가 가리키는 투자종목은 무엇인가
6. 모든 투자의 기본이 되는 자본주의 게임의 법칙
- 피케티의 불평등을 줄이는 3가지 방법
- 보다 현실적인 3가지 제안
7. 직관 따위 접어 두고 냉정하게 판단하라
- 투자자들은 어떤 생각 방식으로 생각하는가
- “빠른 생각”은 어떻게 잘못된 판단으로 이어지는가
- 투자를 망치는 2가지 편향
- 이성을 활용하여 느리게 생각하라
8. 인간본성을 이해하면 투자할 곳이 보인다
- 돈이 움직이는 방식을 읽을 줄 알았던 한비자
- 인간은 기회만 있다면 언제든 돈을 떼먹으러 든다
-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가 투자의 기본이다
9. 교육비에 투자할까 부동산에 투자해서 유산으로 물려줄까
- 세계의 신흥 부자들, 자녀교육 위해 돈 모은다
- 학군별 집값 차이는 선진국이 더하다
10. 미중전쟁은 한국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
- 미국은 왜 중국이 이렇게 크도록 내버려두었나
- 미국은 중국을 어떻게 압박하고 있는가
- 미국의 요구와 중국의 방어는 어떻게 부딪치고 있나
- 미국의 중국 봉쇄 전략, 어떻게 끝날것인가
- 한국은 어느 쪽에 줄을 서야 유리한가?
한국 산업중에서 중국에 앞서는 것은 반도체와 아몰레드 그리고 엔터테인먼트 산업만 남은 것 같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없다면 한국의 모든 산업은 중국에 먹히고 말 것이다.
시간문제일 뿐이다. 미국이 세계경제를 블록화하여 중국 경제를 봉쇄한다면 나는 한국에 유리하다고 본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003년부터 세계 경제성장률보다 못했다.
평균을 깍아 먹었다
2002년 중국이 WTO에 가입한 영향이 크다. 중국 13억 인구가 자유시장 경제체제의 노동자로 유입되면서 예전보다 노동자가 50퍼센트 이상 많아진 것이다. 그만큼 한국 노동자들의 입지가 줄어들었다는 뜻이다.
아버지세대는 취직이 잘되었는데 요즘 젊은이들은 취직이 안된다고 불만이 많다
그런데 알고 보면 아버지세대는 운이 좋아서 자유진영에서 가장 가성비가 좋았다. 일단 쌌다
그러니까 취직이 잘되었다. 그런데 요즘 젊은이들은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 대졸자와도 경쟁해야 하고 인도 대졸자와 도 경쟁해야 하니 취업이 어렵다.
우리나라는 1985년부터 1988년까지 3년간 1인당 GDP가 2배로 늘었다. 단군 이래로 우리가 가장 빨리 부자가 된 시기였다. 그때 우리의 성장동력은 무엇이었을까?
미국이 플라자합의로 때리니까 한국이 반사이익을 얻게 된 것이다. 한국전쟁이후 미국은
한국의 경제발전에 꾸준히 영향력을 행사했다. 한마디로 전쟁의 포화속에서 굶주리던
나라가 그토록 짧은 시간안에 재기할 수 있었던 것은 미국 덕이 크다. 결과적으로
미국편에 줄을 서는 편이 우리나라에 유리할거란 얘기다.
https://nikang-nekang3737.tistory.com/421
https://nikang-nekang3737.tistory.com/422
'독후감, 책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방천의 관점(1) - 짬짜미 독서 (0) | 2022.02.07 |
---|---|
쓰기의 독서 - 짬짜미 독서 ^^ (0) | 2022.02.04 |
서로 사랑하면 언제라도 봄 - 이해인수녀 시집 (0) | 2022.01.14 |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2)- 짬짜미 독서 ^^ (0) | 2022.01.11 |
주식시장의 17가지 미신(2) - 짬짜미 독서 ^^ (0)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