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짜미 독시(詩)
도서명 | 유배지에서 보내는 정약용의 편지 | ||
지은이 | 정일근 | 출판사 | 새로운 눈 |
제목 : 유배지에서 보내는 정약용의 편지
제1신
아직은 미명이다. 강진의 하늘 강진의 벌판 새벽이 당도하길 기다리며 죽로차를 달이는 치운 계절, 학연아 남해바다를 건너 우두봉을 넘어오다 우우 소울음으로 몰아치는 하늬바람에 문풍지에 숨겨둔 내 귀하나
부질없이 부질없이 서울의 기별이 그립고, 흑산도로 끌려가신 약전 형님의 안부가 그립다
저희들끼리 풀리며 쓸리어가는 얼음장 밑 찬 물소리에도 열손톱들이 젖어 흐느끼고 깊은 어둠의 끝을 헤치다 손톱마저 다 닳아 스러지는 적소의 밤이여,
강진의 밤은 너무 깊고 어둡구나. 목표, 해남, 광주 더 멀리 나간 마음들이 지친 봉두난발을 끌고 와
이 악문 찬 물소리와 함께 흘러가고 아득하여라.
정말 아득하여라 처음도 끝도 찾을 수 없는 미명의 저편은 나의 눈물인가 무덤인가 등잔불 밝혀도 등뼈 자옥이 깎고 가는 바람소리 머리 풀어 온 강진 벌판이 우는 것 같구나
제2신
이 깊고 긴 겨울밤들을 예감했을까 봄날 텃밭에다 무를 심었다. 여름 한철 노오란 무꽃이 피어 가끔
벌, 나비들이 찾아와 동무해주더니 이제 그 중 큰 놈 몇 개를 뽑아 너와지붕 추녀 끝으로 고드름이 열리는 새벽까지 밤을 재워 무채를 썰면, 절망을 썰면, 보은산 컹컹 울부짖는 승냥이 울음소리가 두렵지 않고
유배보다 더 독한 어둠이 두렵지 않구나. 어쩌다 폭설이 지는 밤이면 등잔불을 어루어 시정강의보를 엮는다
학연아 나이가 들수록 그리움이며 한이라는 것도 속절이 없어 첫해에는 산이라도 날려보낼 것 같은
그리움이 강물이라도 싹둑싹둑 베어버릴 것 같은 한이 폭설에 갇혀 서울로 가는 길이란 길은 모두 하얗게 지워지는 밤, 사의제(四宜齊)에 앉아 시 몇 줄 읽으면 세상의 법도 왕가의 법도 흘러가는 법
힘줄 고운 한들이 삭아서 흘러가고 그리움도 남해바다로 흘러가 섬을 만드누나
제목 : 늦가을, 유폐의 詩
인간은 순간적인 것이라면 모든 것을 참을수 있다. -카우퍼 포이스
낡은 이끼 내음을 풍기는 기도원 돌벽에 이마를 기대고 황폐한 예감이 온몸을 타고 돌아 홀로 고통스러워질때까지 눈을 감고 있었다. 바람의 찬 손들이 내 늑골을 흔들어 외로움 깊은 뇌출혈은
산문으로 풀어지고, 등 뒤에서는 이미 늙고 병든 가을이 마른 낙엽을 스치며 목쉰 소리로 울고 있었다
천리밖에서 허기진 승냥이 울음이 달려와 우리가 죽어 묻힐 땅에 녹슨 못을 박는다 누구냐, 누가 이미 물이 마른 우물에 두레박을 던지느뇨 윽윽, 손톱 밑으로 푸른 피들이 모두 빠져 달아나고, 돌아보지 말아라 돌아보지 말아라 , 나는 끝없이 불안한 잠을 거부하며 달아나고,
꿈, 그리운 통일
겨드랑이에 비닐 달린 왠 장사가 38선을 깔고 눕더군요
그러자 길고 긴 철조망이 저절로 녹아 없어지는 거예요
잠을 깨보니 천지에 함박눈이 ....<윤정모님의 소설 “눈”에서>
이게 꿈인가요, 너무 환한 대낮 생시를 보듯 내 겨드랑이에 날개가 돋네요, 윽윽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무한무량의 불가사의한 힘, 힘 , 나는 단숨에 백두에서 한라까지 뛰어넘으며
더운 입김으로도 산맥과 강물들을 남북으로 자유로이 굽이쳐 달려가게 하는, 나는 겨드랑이에 날개 돋은
이 땅의 역사(力士)가 되어 휴전선 비무장지대 풀꽃들 사이 편안히 드러누워 서로가 잊고 살아온 땅 조국의
싱그러운 흙내음을 힘껏 들이마셔 봅니다. 일순, 이게 정녕 꿈인가요, 우르르 꽝꽝 천지개벽이 일고 철책들은 동서로 힘차게 달려오다 그냥 그대로 스르르 녹아들며 나비가 되네요, 보셔요, 조국강산 가득한 저리도 고운
나비, 나비, ...서로가 서로의 가슴을 겨누던 모든 쇠붙이들 또한 땅 속으로 녹아들며 깊은 뿌리를 내리네요
뿌리를 내려 따뜻한 게 엉키며 무장무장 피어오르는 통일꽃, 아아 아니어요, 이건 분명 꿈이 아니어요,
똑똑히 들려오네요, 남에서 북으로 북에서 남으로 흰옷입은 사람들 흰 광목 깃발 하얗게 펄럭이며 달려가고
달려오는, 저그리운 날의 함성 소리가, 소리가
제목 : 새벽
이 새벽 누군가가 먼저 깨어 있음을 생각하자
더운 김이 솟는 밥 한 그릇을 받고
길 떠나는 사람이 있음을 잊지말자
새벽마다 신발 끈 튼츤히 동여매는 형제들이여
아직 가야 할 길이 멀고 먼 이 새벽
힘이여 우리나라의 동터오는 푸른 힘이여
제목 : 적/즐거운 증오
적이 있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적을 증오할 때 마다 솟아오르는 증오의 힘
현대 문명의 테크노피아 그 한가운데서
그리운 수렵시대의 격세 유전자가 되살아나고
나는 공룡을 추적하는 사냥꾼이 된다
나의 적은 공룡
박사 학위와 몇 권의 저서
워드프로세스로 집필을 하는 공룡
공룡의 빨간 승용차를 미행하며
어느 날 유곽의 뒷골목을 빠져 나오는 공룡의 무릎을 꺾고
마침내 공룡을 거세시키는 상상력의 즐거움
적을 증오할때마다
나는 하드보일러체를 즐기는 추리 소설가
오늘 나의 적은 어제의 동지
그가 가면을 벗기 전까지
가면속의 얼굴을 알지 못했다
심장이 박제된 차가운 가슴을 알지 못했다
007가방을 든 적은 상행선 열차를 타고 떠나고
이제 나의 몫으로 남은 것은 증오뿐
아들아이의 전자오락기 속에서 명멸하는 비행체처럼
끊임없이 변신하는 적을 향해
파괴 스위치를 누른다
뽕뽕 우르르 쾅쾅 즐거운 증오
적의 얼굴이 실린 신문과 책들을 밟고 서서
가을엽서
먼 산 이마 가까이 다가와
차게 빛나고
홀로 맞이하기에는
손 시린 새벽
그리운 이여
가을깊다
까치밥 하나에도 눈부시다
앞마당 가득
붉은 고추를 내다 말리며
내 오랜 기다림 또한
넉넉한 가을 햇살아래 널면
보인다
힘살 고운 가을 서정과
그리움의 살 속 뼛속까지
환하게 보인다.
제목 : 處容(처용)의 바다
한 사내가 어둠을 쓰러뜨리고 있었다
바다 가까운 어귀에서 매번 해일이 일어
방풍림 깊숙이 갇혀 뜬 눈으로 뒹구는
신화가 뿌리째 젖고 있었다
청동시대 그 이전이 하늘 다스린 달빛이여
허기진 벌판 끝 헤매이는 승냥이
울음소리에 한겹 한 겹 무너지려하는가
빈집의 아궁이 마다 펄럭이던 불빛들이
바람과 함께 부동의 바다에서 명멸하고
잠을 잃은 사내들이 빗장을 풀고 나와 짙은
안개 떠도는 해안으로 걸어가 지워지고 있었다
떠도는 모든 것이 사라진 바다
한 사내가 밤마다 쓰러뜨린 어둠이
기나긴 잠 속으로 몸져눕고 있었다.
'독후감, 책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살까지 유쾌하게 나이드는 법 (2) - 짬짜미 독서 ^^ (1) | 2022.09.29 |
---|---|
쓰러진자의 꿈 - 짬짜미 독詩 (1) | 2022.09.21 |
작은 위로 - 짬짜미 독시(詩) ^^ (0) | 2022.08.02 |
100억 젊은 부자들이 온다(2). & 나도 부자가 되고 싶다 ^^ (0) | 2022.07.07 |
우동한그릇, 국밥 한그릇(2) - 짬짜미 독시(詩) (0) | 2022.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