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탄의 도구들
팀페리스
1만 시간의 법칙을 깬 성공비법중에서 5가지 를 골랐다.
1. 나를 빠르게 성공시킬 습관 5가지
1) 내 잠자리를 정리하라
2) 명상하라
3) 한 동작을 5회 ~ 10회 정도하라
요즘 운동을 매일 한다.. 하루에 한 시간이나 두 시간 정도 걸린다.
가까운데도 가고 멀리도 간다. 부산에 살고 있다
용두산공원에도 가고 송도해수욕장에도 간다. 그곳에 갔다 오면 시간이 그 정도 걸린다.
몇 년 전에 갑상선 항진증이 나를 힘들게 했다. 지금은 많이 좋아졌지만 지금도 관리 중이다..
그리고 나이도 제법 먹었다.
몸에 좋은 것을 먹으려고 노력한다. 위가 쓰린다. 그래서 양배추와 마도 갈아먹고 저번에는 단 포박에 꿀을 넣어서 쪄서 먹은 적도 있다. 좋았다.
그리고 나이가 드니 살이 안 빠진다. 특히 뱃살이 안 빠진다..
그래서 요즘 특단의 대책을 세웠다. 봉이 있다. 기다란 작대기 봉으로 하루에 1시간씩 돌린다. 허리와 어깨가 얼얼하다.
처음에 할 때는 정말 이상한 느낌이었다. 뱃살이 빠지는 느낌이어서 너무 좋았다. 매일 하려고 한다. 꾸준함은. 모든 것을 이긴다.
올해 목표가 허리 28이다. 한번 도전해볼 생각이다.
4) 차를 마셔라
나는 아침마다 남편이 갈아준 행복 주스를 마신다. 전에 티브이에 당근과 사과와 비트를 갈아서 abcabc주스가 유행했다. 꼭 그게 아니더라도 당근은 눈에 좋다. 전에부터 당근은 좀 열심히 먹었다. 사과도 아침에는 금사과라는 말이 있다. 비트는 좀 사기가 어렵다. 그래서 가끔씩 먹는다. 추가로 견과류를 넣는다. 잣과 아몬드를 같이 넣어서 주스를 한잔 마시면
하루가 상쾌하다.
남편의 사랑이 가득한 쥬스를 나는 행복 주스라 부른다.
단희 샘은 아침에 꿀물을 한잔씩 한다고 한다. 이것도 좋은 것 같다. 자기에게 맞는 것을 하면 된다.
5) 아침 일기를 쓰라
나는 매일 직장에 가서도 집에서도 아침에 제일 먼저 컴퓨터를 켜면 나의 기도를 쓴다
나는 하는 일마다 잘된다. 나는 운이 좋다. 일상의 행복
이것을 10번씩 쓴다. 그리고 나의 목표를 적는다. 이것을 적으면서 또 생각이 여러 가지 떠오른다. 시작을 하는 게 참 중요한 것 같다. 생각이 잘 안 날 때는 그냥 사무실에 갈 때 있었던 것도 적고 집에서 느낀 것도 적고 생각나는 대로 적는다.
2. 아이디어의 주제는 무엇이던 상관없다. 꾸준한 연습이다.
완벽한 아이디어가 아니라 좋은 아이디어이다.
매일 10개씩 메모를 한다. 계속하다 보면 습관이 된다.
아니면 어떤 분은 블로그에 1일 1포 스팅을 한 대요. 아무리 힘들어도 소재가 없어도 하루에 한 개씩
저도 블로거와 카페가 있습니다 하루에 한 개씩은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어떤 때는 독후감을 적기도하고 또 어떤때는 그날 큰 사건을 포스팅하기도 하고 그날 느낀 것을 적기도 합니다 소재는 여러 가지입니다. 맛집을 간 것을 적은 것도 있고 아니면 좋은 글을 적을 때도 있습니다. 지금은 블로거 구독자 1만 명이 넘었다.
내년 목표는 2만명이다. 앞으로도 계속 써 내려갈 것이다..
"여러분, 1일 1포 스팅 힘드시죠? 힘드셔도 해야 합니다. 왜냐면 우리는 조준 발사가 아니고, 발사 조준이니까요'’라는 말이 있다. 해보지도 않고 조준만 하고 있다간 아무것도 안 된다는 그 말에 머리를 탁 맞은 느낌이 들어서 퇴근하고 조금만 틈이라도 있으면 포스팅을 올렸다. 워낙 글 쓰는 데 익숙지 않아서 아침에 시작해도 수정을 거듭해 밤에 마무리하곤 했다. 지금도 아무리 바빠도 1일 1포 스팅은 지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떡볶이집 사장이 1일 11포 스팅 하는 이유 - 이승희 마케터·'기록의 쓸모' 저자인용)
3. 글을 쓰는 사람이 미래를 얻는다. 디지털 시대가 발전하면 할수록 글을 쓰는 사람이 기회를 얻는다.
성공한 사람은 말하기와 글쓰기에 탁월한 실력을 가지고 있다.
책을 많이 읽고 그 책을 블로그에 올리고 그럼으로써 기회를 얻는다. 지금은 블로그와 카페 그리고 티스토리를 하고 있지만 머지않아 유튜브도 할 것이다. 사실은 지금도 유튜브를 하고 있다
내가 말보다는 글을 좀 더 잘 쓰는 것 같다. 우선 이렇게 시작한다.
4. 의문문을 질문으로 바꿔라
당신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가(의문문) - 부정적인 생각이다
나는 왜 이럴까. 왜 이렇게 못할까?
나의 이것을 어떻게 하면 좋게 만들 수 있을까 (질문)
어떻게 하면 좋은 방법이 어떤 것이 있을까, 행복하게 할까요
5. 내 정신에게 밤새 할 일을 주자 날마다 자기 정신이 밤사이에 공들여 해결해 주기를 바라는
문제를 노트에 적어라
- 그 이유에 대해서 우리의 생각 대부분이 잠재의식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우리가 수면을 취하며 긴장을 풀고 위기를 회복하는 동안 다양한 해결책이 잠재의식을 통해서 떠오를 수 있다.
나는 이 방법은 아직은 안 해봤는데 그렇게 하면 낮에도 생각하고 밤에도 생각하고 온통 생각에만 빠지는 게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든다. 밤이라도 좀 생각에서 해방을 하게 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가만 생각해보니 보통 천주교에는 고해성사라고 있다. 죄를 지은 사람이 신부님 앞에 잘못했다고 하면 신부님이 용서한다는 말을 한다. 그 말을 들은 신부님은 어떨까. 아니면 하나님은 어떨까
그런 생각을 하니 가능할 듯도 하다.
잠재의식은 우리가 무의식에서 발현하는 의식이다 이것도 사실은 하나님이 아닐까 만약에 그렇다면..
가능하다. ~~
잠재의식님 제가 고민이 있어요. 무엇 무엇인데 어떻게 할까요
해결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부탁드립니다. 그렇게 말하면서 나의 고민을 이야기하는 방법도 괜찮을 것 같다. 이제부터는 그렇게 해야 되겠다.
글을 쓰는 것이 이렇게 좋다. 이 글을 쓰면서 이 내용을 내가 이해한 것 같다. 앞으로도 이렇게 할 것이다.
이 중에서 자신이 좋은 것 하나를 선택해서 아니면 몇가지를 선택해서 실천하면 될것이다. 중요한 것은 실천이다.
아무리 알아도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우리속담에 구슬이 서말이도 꿰어야 보배다. 라는 말도 있지 않는가? 당장 실천하자. ^^
'독후감, 책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직업의 이동- 책 소개 (0) | 2021.01.08 |
---|---|
1인 기업을 한다는 것 - 독서감상문 (1) | 2020.12.07 |
당신앞의 10년 – 미래학자의 일자리 통찰 (독후감) (0) | 2020.11.24 |
1㎝ 다이빙 - 책을 읽고 나서 (0) | 2020.11.19 |
이 한마디가 나를 살렸다(김미경)- 읽고나서 (0) | 2020.11.16 |